반응형






백두산에 설인 ‘예티’ 출현, 발견, 예티 목격담과 증거




2007년 3월경에 백두산에서 ‘설인’ 예티로 추정되는 괴생명체가 발견됐다고 중국 선화통신이 보도해서 큰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2007년 3월 30일 백두산 해발 1250m 지점에서 한 중국 산악인이 촬영한 괴생명체는 키가 2.5m에 달하는 거대한 몸집에 몸 전체가 털로 덮여 있다고 한다. 괴생명체의 사진과 동영상을 찍은 중국 아마추어 산악인 저우룬파씨는 “똑바로 서서 걷는 데다 보행 속도도 사람과 비슷한 시속 4km 수준이었다”고 말하며 자신이 본 괴생명체는 설인’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저우룬파씨의 설인 목격담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사진조작 가능성을 검증해야 할 뿐만 아니라 곰과 혼동했을 가능성도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설인’의 존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백두산의 원시 자연림에 대한 연구결과가 전무한 만큼 알려지지 않은 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는 시각이다.


베이징대 의대 류더화 교수는 “현생 인류와 비슷한 신체 구조를 가지고 있는 생물이 존재한다면 이는 커다란 학술적 가치가 있다, 광범위한 조사활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미 중국 일부 연구기관에서는 히말라야의 설인 ‘예티’를 조사하는 네팔대 라이어 교수팀과 공동조사를 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몇 년전에는 백두산 천지에 네시와 비슷한 괴물 목격담이 유행한 적이 있었고 2007년도에는 네시 이외에도 백두산에서 설인 예티에 대한 목격담이 공개되어서 큰 관심을 증폭시켰던 적이 있었다.

아메리카의 빅풋, 사스콰치와 더불어 세계 4대괴물로 불리우는 설인 예티는 사실 오랜전부터 히말라야 등지에서 목격담들이 전해져오고 있는 털복숭이 형태의 괴생명체이다.

아메리카에 빅풋의 목격담이 존재하듯이 중앙아시아 부근 히말라야산맥과 파미르고원 쪽에는 빗풋과 비슷한 털복숭이 생명체 예티가 살고 있다는 목격담들이 오래전부터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백두산에서 발견되었다는 예티를 촬영한 사진


과학자들은 설인 예티의 존재를 부정하며 히말라야 산맥의 설산에서 산소부족 상태의 몽롱한 상태에 처한 등반가들이 착시현상을 일으켜서 환상을 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설인 예티의 목격담을 내놓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권위있는 학자나 과학자들이어서 무조건 환상이니, 착시라고 단정지을 수만은 없는 것이다. 또한 설인 예티를 목격했다는 목격담 또한 무척 구체적이고 꼼꼼해서 예티의 존재에 대해서 연구해볼 가치는 분명 있다고 본다.

2007년 백두산에서도 발견되었다고 하는 설인 예티에 대한 과거의 목격담 사례를 한번 살펴보도록 한다.


♣ 설인 예티의 목격담, 설화


히말라야산맥에 살고있다는 거대한 크기의 설인 예티에 대한 목격담은 많이 있는데 나름데로 실감나게 묘사되고 있어서 예티의 존재를 믿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소재거리가 되고 있다.

예티 목격담 기록을 살펴보면 설인 예티는 1832년 영국탐험가에 의해서 처음 목격되었다고 알려졌다. 영국탐험가의 설명에 의하면 예티는 ‘길고 검은 털이 나 있고, 꼬리는 없으며 똑바로 서서 걷는 설인’이라고 전해졌다.



1951년에도 에베레스트 등산가 십턴이라는 사람이 히말라야에서 설인 예티를 목격했다고 하는데 히말라야 등산을 자주 하는 전문 산악인의 목격담이어서 당시 상당히 신빙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물적인 증거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그는 히말라야 가우리상카 빙하엣 예티의 것으로 추정되는 발자국이 1km까지 나 있는 것을 발견했고 사진촬영까지 하는데 성공했다.


그당시 십턴이 발견한 발자국의 크기는 무려 40cm나 될 정도로 거대한 크기였는데 이는 남자 평균발자국 26cm보다 훨씬 큰 것이며 곰의 발자국보다도 더 큰 발자국이어서 설인 예티의 것이라고 확신했다고 하며 이 발자국은

1km 정도 걸어간 흔적이 나 있었으며 이 발자국 사진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다.



1957년도에는 레닌그라드대학의 학자 프로닌박사가 설인 예티를 목격했다는 목격담이 나왔다. 1957년 8월 2일, 프로닌박사와 팀원들은 페첸키빙하지역에서 탐사활동을 벌이기 위해 빙하의 한쪽 귀퉁이에서 캠핑을 하며 그 일대를 샅샅이 조사하고 있었는데 프로닌박사의 눈에 털복숭이를 한 생명체가 나타났다고 한다. 프로닌박사로부터 약 500m 전방에 털로 뒤덥혀있는 직립생명체가 시야에 나타났다고 한다.


프로닌박사가 탐사를 벌이던 페첸키빙하 지역은 사람이 전혀 살지않는 지역인데 그곳에 출현한 털복숭이 형태의 생명체는 사람과 많이 닮은 모습을 하고 있어서 프로닌박사는 그 생명체가 예티라고 확신했다고 한다.

프로닌박사가 묘사한 그 생명체의 형태는 외모는 사람을 닮았으며 어깨는 구부정하고 팔은 사람보다 길었고 몸 전체가 붉은색이 감도는 회색털로 뒤덮여 있었다고 한다. 프로닌박사는 그 털복숭이 생명체를 3일 뒤에 또다시 목격했다고 한다. 그 털복숭이 생명체는 프로닌을 보자 빠른 걸음으로 동굴속으로 사라졌다고 한다.


나중에 들은 사살이지만 키르기스지방의 사람들은 그 생명체에 대해 대단히 친숙해 있었으며 그 생명체를 야생인간이란 뜻의 굴리아방(Guliavan)이라고 부르곤 했다.



1980년경에도 설인 예티에 대한 목격담이 또 나왔다. 80년도에 120명으로 구성된 대규모의 탐험대가 파미르지역을 탐사하였는데 그 대원들 중 18세의 나나가 예티를 목격했다고 하는 목격담이 타임지에 실렸다.


‘예티로 보이는 그 생명체는 전방 25m 거리에 서있었는데 나를 뚫어지게 쳐다보고 서 있었다. 그의 눈은 크고 강렬했다. 몸은 거무스레한 은빛을 띈 온통 털로 뒤덮여 있었다.

키는 2m 정도 되며 힘은 강해 보였고 목은 짧았다. 그 털복숭이 생명체는 얼굴을 앞으로 내밀고 팔은 내려뜨리고 있었다’고 타임지에 실린 당시 나나의 목격담은 너무나도 생생한 것이었다.


나나도 이 털복숭이 생명체를 두 번 목격했으나 더 이상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120명이나 되는 탐험대원들은 예티로 추정되는 생명체를 두 번 목격하였을 뿐 그에 관한 증거를 확보하지는 못했다고 한다.

예티의 이야기는 네팔의 히말라야, 특히 쿰부지역에서 많이 전해져 오고 있으며, 세계의 지붕이라 할 수 있는 파미르고원과 중앙아시아, 러시아 시베리아 지방에서도 목격담과 설화 등이 많이 전해져오고 있다.



예티의 얼굴은 반은 사람모습이고 반은 고릴라 모습을 한다고 전해지고 있고, 손은 길어서 무릎 아래까지 내려간다. 예티의 발바닥의 길이가 40Cm를 넘으니까 직립 동물 치곤 제일 클 것 같다. 꼬리는 없고 털색깔은 짙은 회색과 검붉은색 등 여러 가지의 색상을 하고 있으며, 예티의 키는 크기가 다양한데 주로 2m 이상으로 알려졌으며 가장 큰 것은 4m 크기도 전해져 온다.


예티가 살고 있다고 목격된 지점은 주로 네팔의 히말라야산맥 부근과 타지키스탄의 파미르고원지역이며 간혹 시베리아남부에서도 목격된다고 한다. 이처럼 설인 예티는 주로 사람들이 살지 않는 빙하지역이나 고원지역에서 철저히 고립되어 살고 있는 것이다.


예티로 추정되는 털복숭이 생명체가 이처럼 사람들과 멀리 떨어진 고립된 지역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유는 인구가 훨씬 많은 사람들에게서 위협을 느끼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할 수 있으며 사람들이 무기로 무장하고 군대를 편성해서 대규모로 정복사업을 벌이던 과거의 특정한 시기에 극소수의 인원으로 고립된 생활을 하던 설인 털복숭이 생명체는 무기를 소지하고 대규모로 몰려드는 인간들에게서 심한 위기감을 느끼고 사람들의 발길이 거의 없는 높은 고원지대나 빙하지대로 숨어들어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예티로 추정되는 털복숭이 생명체는 주로 단독생활을 하기 때문에 그들이 아무리 덩치가 크고 힘이 세다고 해도 문명을 이룩하지 못하고 원시상태로 살아가는 그들은 무기를 사용할 줄 아는 인간들에게는 대항할 수 있는 여건이 못된다. 그래서 그들은 될 수 있으면 사람들로부터 계속 멀리 떨어져서 깊은 고원지대나 높은 빙하지대로 숨어들어갔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는 설인 예티에 대한 목격담은 무수히 많이 존재하지만 예티에 대한 구체적인 물적 증거는 하나도 확보되지 않고 있어서 더 많은 조사와 발견이 시급한 상태이다.












Posted by 프린스.
,